2022년 9월 1일부로 이통 3사에서 e심의 정식 개통이 시작됐습니다. e심이라는 용어가 조금은 낯선데요. e심을 이용하면 하나의 단말기에 두 개의 회선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는데, 기존에 사용하던 u심(uSIM)과는 무엇이 다른지 e심의 정의, 장단점, 지원 단말기를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목차
e심(eSIM)이란?
e심(eSIM)이란 embedded SIM의 약자로 내장된 SIM이라는 뜻입니다. 기존의 u심은 가입자 정보가 담긴 물리적인 칩을 단말기에 꽂아 사용하는 방식으로 단말기 한 대당 하나의 번호만 사용할 수 있었지만, e심은 가입자 정보를 데이터화해 단말기에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e심 장단점
- 장점
- 온라인을 통해 요금제 가입 후 모바일 앱을 통해 데이터를 내려받기 때문에 오프라인 매장 방문이나 심카드 배송을 기다릴 필요 없음.
- 데이터 다운로드 비용이 2,750원으로 7~8천 원 대의 u심 구입 비용에 비해 저렴.
- 기기변경을 하지 않는다면, 최초 데이터 설치 이후 서로 다른 통신사의 요금제가 사용 가능.
- 듀얼심 모드를 이용하여 하나의 단말기로 두 개의 회선 사용 가능. 업무폰과 개인폰 분리할 필요 없음.
- 단점
- 기기 변경 시 데이터 다운로드 비용 2,750원 추가 발생.
- 단말기 고장, 분실이 발생했을 경우 u심에 비해 신속한 대처가 어려움.
- 2022년 현재 지원하는 안드로이드 단말기 부족.
1폰 2번호 듀얼심 모드
e심 활용의 가장 큰 장점은 하나의 단말기에서 두 개의 회선을 사용할 수 있는 듀얼심 모드입니다. 이는 그동안 업무폰과 개인폰을 따로 사용하던 분들에게 희소식이 아닐 수 없는데요. 기존 이통사에서 서비스하던 투넘버 서비스는 소프트웨어로 한 회선에 가상의 두 번째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이었다면, 듀얼심 모드는 두 번째 번호를 새롭게 개통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조 회선을 이용한 통화와 문자, 본인인증 서비스 등 기존 투넘버 서비스의 단점이 많은 부분 해소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듀얼심 모드를 통해 번호 기반의 SNS 계정을 두 개 만들 수 있는데, 현재까지는 듀얼 메신저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인 갤럭시z플립4와 폴드4만 가능하기에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기능입니다.
메인 회선과 보조 회선을 각각 다른 통신사에 가입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지가 넓어지게 됩니다. 현재 이통 3사에서 월 8,800원의 e심 전용 요금제를 출시했는데, 전용 요금제에 가입하게 되면 메인 회선의 음성, 문자 메시지 사용량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메인 회선은 데이터 위주의 요금제를 가입하고 보조 회선은 음성, 문자 메시지만 사용하는 요금제에 가입하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회선 두 개 모두 선택 약정 할인을 받을 수 있고 결합 할인도 받을 수 있습니다.
주의 사항으로 대포폰 등 부정 사용 방지를 위해 회선 개통 시 반드시 사용자의 명의가 동일해야 합니다.
e심 지원 단말기
e심은 단말기에 기능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단계에서 탑재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아이폰 시리즈는 2018년 3분기 이후 출시된 단말기(태블릿 포함)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안드로이드는 최근 출시된 갤럭시z플립4와 폴드4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단말기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조사 | 지원 단말기 | ||
APPLE | iPhone XR, iPhone XS, iPhone XS Max, iPhone 11, iPhone 11 Pro, iPhone 11 Pro Max, iPhone SE(2세대), iPhone 12 mini, iPhone 12, iPhone 12 Pro, iPhone 12 Pro Max, iPhone 13 mini, iPhone 13, iPhone 13 Pro, iPhone 13 Pro Max, iPhone SE(3세대) | ||
SAMSUNG | 갤럭시 Z 폴드 4, 갤럭시 Z 플립 4 |
이상으로 e심의 정의와 장단점, 지원 단말기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e심을 이용한 듀얼심 모드가 아주 매력적입니다. 특히 업무폰과 개인폰을 분리해 쓰던 사용자들의 체감이 가장 클 것으로 보이네요. 다만 기능을 지원하는 안드로이드 단말기가 부족하기에 삼성전자에서 미리 해당 기능을 탑재해 주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마지막으로 이통 3사가 올해까지 e심 첫 구매 고객에게 데이터 다운로드를 무료로 제공한다고 하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올해 안으로 개통하시면 좋겠습니다. 이상 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e심(eSIM) 요금제 비교 추천
2022년 9월 1일부 e심의 이동 3사 개통과 함께 e심 전용 요금제가 출시됐는데요. 어떤 e심 요금제가 좋을지, 이통 3사와 알뜰폰의 e심 요금제 상품내용과 가격을 알아보고 비교 추천해보겠습니다.
snapball.tistory.com
'정보 >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s 16 업데이트 지원 단말기 기능 후기 정리 (0) | 2022.09.13 |
---|---|
AI 그림 그려주는 사이트 미드저니(Midjourney) 사용법 (6) | 2022.09.11 |
e심(eSIM) 요금제 비교 추천 (1) | 2022.09.10 |
애플워치8·se2·울트라 가격 디자인 성능 정리 (0) | 2022.09.09 |
아이폰 14 출시일 가격 성능 정리 (2) | 2022.09.08 |
댓글